본문 바로가기

식물관련자료

[스크랩] 한국의 전통색이란?

한국의 전통 색을 찾아서

일반적으로 전통 색이란 어떤 민족이나 나라에서 오래 전부터 전해 내려오는 색을 말한다.
주로 건축물, 예식용 물품, 의상이나 생활용품 등에 자주 사용되는 색 혹은 어떤 민족이 애용해 왔거나 특정 지방에서 고유색으로 간직해온 독특한 색을 말한다.
우리의 대표적인 전통 색은 적, 청, 흑, 백, 황이다
이를 오방색 이라고 부르며 이 전통 색은 우리의 전통생활양식 전반에 영향을 미쳤던 음향오행 사상과 관련이 있다.
동양 사상에는 우주를 지배하는 기본원리를 음과 양으로 보았고 오행은 음양이 드러나고 표현되는 방법이라고 여겼다.
정신적 물질적 생활 전반에 걸쳐 오행의 조화를 중시하였고 나라에서 지내는 의례인 오례, 사람이 갖추어야 할 다섯 가지 덕목인 인, 의, 예, 지, 신 행복한 삶의 상징인 오복, 음식의 맛을 나타내는 오미 등이 대표적인 예라고 할 수 있지요.
따라서 색채에도 이런 사상이 스며 있다.
음양오행사상에 따른 색채 체계는 동서남북 및 중앙의 다섯 가지 방위를 기본으로 하며 이 오방에는 각 방위에 해당하는 정색이 있다.
가운데의 황색을 중심으로 동서남북에 각각 청, 백, 적, 흑색을 배치하였고 각각의 색은 우주 생성의 다섯 원소인 흙, 나무, 쇠, 불, 물에 해당하며 양의 색으로 간주를 하였다.
또한 정색 사이에는 음의 색으로 여겼던 홍, 녹, 벽, 자, 유황 색의 오간색이 있다.
전통 기본 색이란 이들의 오정색과 오간색을 합한 10가지색을 말한다.
오방색이 전통적으로 자리 잡게된 것은 음양오행의 이치에 맞아야 일상 생활에서 액운을 피할 수 있고 무병장수하며 나아가 나라도 번창한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맛에 있어서는 맵고, 달고, 짜고, 시고, 쓴 다섯 가지 맛의 오미와 오색을 갖춘 음식을 이상적으로 여겼다.
사찰이나 궁궐, 관청 등에 오방색을 사용해 장식으로 그려 넣은 단청을 볼 수 있는데 이것 역시 잡귀를 쫓고 권위와 위엄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라 합니다.


오방 색이 가장 엄격히 사용된 분야는 의복으로 삼국시대부터 관복의 색으로 지위고하를 구별했다는 기록이 남아 있다고 합니다.
장엄, 사치, 권위의 상징이었던 화려한 유채색은 왕과 귀족 양반들이 주로 사용했고 일반 서민들에게는 사용을 규제하기도 하여 서민들은 혼례 같은 특별한 날 외에는 주로 흰색을 입었던 것이다.
당시로서는 염료도 귀하고 비싸고 신분의 차이를 의복 색으로 구분했기 때문에 대다수 사람들은 화사한 옷을 입고 싶어도 흰색 옷을 입을 수밖에 없었다는 주장을 하는 학자 분도 있습니다.

여기서 우리는 천연염색에 대해서 생각을 하여 봅시다.
말 그대로 자연 부산물을 이용하여 옷감이나 천에 색을 입히는 걸 말합니다. 그럼 어떻게 하는지 알아볼까요?
먼저 이러한 식물은 염료식물이라고 합니다.
물론 동물도 이용을 하였는데 쇠뼈를 녹인 풀이 아교라고 하는데 황토 물에 아교를 녹여 함께 물들이면 베의 올이 막혀서 바람이 새나가지도 않고 비에 씻겨 내리지도 않는다고 하네요.
물들이려고 하는 재료에 색깔이 잘 스며들도록 하는 것이 매염재라고 하는데 이 매염재가 산성이냐 알카리성이냐에 따라 붉은 색이 되기도 하고 보라색이 되기도 한다고 합니다.
또 같은 염색 재료라 해도 산지에 따라 다르고 거두는 때와 갈무리하는 방법에 따라 색이 달라진다.
오늘날 전 세계에 쓰이고 있는 물감 재료 식물만 해도 약 2000종이나 됩니다. 이 가운데 우리나라에서는 100가지 정도를 활용한다고 합니다.
제주의 대표적인 갈 옷은 감속의 탄닌 성분이 공기 중의 산소와 만나면 붉은색이 된다고 합니다.
이 때 더 쉽게 물들이기 위해 식초를 몇 방울 떨어 뜨리면 색깔이 더 고와지고 변하지 않는다고 합니다.
지금으로부터 4000년 전 고대 이집트의 무덤에서는 낭아초라는 풀에서 뽑아낸 붉은 색으로 물들인 베가 나오기도 했다고 합니다.
우리 나라에서는 영조 때 쪽과 함께 잇꽃을 물감으로 썼다는 기록이 있다고 합니다.



♠염료식물
꼭두서니: 붉은색
지치: 붉은색
굴피나무: 황색 또는 갈색
개암나무: 연한 갈색
누리장나무: 암청색
단풍나무: 연한하늘색 또는 푸른빛이 도는 쥐색
도라지: 노란색 또는 연두색
말채나무: 노란빛이 도는 밝은 갈색
산벗나무: 은색이 도는 연한 갈색
쇠뜨기: 녹색
물박달나무: 분홍색
엉겅퀴: 연한 갈색, 매염재에 따라서 연두색
칡: 갈색, 매염재에 따라 노란색
붉나무: 갈색, 연한 주황색
감나무: 갈색
닭의장풀: 잿빛을 띤 푸른색
참억새: 연한 갈색에서 짙은 회갈색

※공부할 내용
1, 천염염색의 재료는 어떠한 것들이 쓰이는지 알아봅시다.
2, 선조들의 지혜를 잠시 엿보면 어떨까요?
3,우리가 평소에 입고 있는 옷감의 색과 천연 염색의 차이를 알아보자.
4, 매염재의 역할과 종류를 알아보세요.



※이번 원고의 출처는 내셔널 지오그래픽 2001년 2월호와 금산군의 고품질 산림자원 부존 실태 조사 연구 보고서를 참조하였습니다.

출처 : 제주야생화
글쓴이 : 운풍 원글보기
메모 :